"수영자의 귀" 외이도염 증상 및 치료방법(swimmer's ear)

 

 

개요

외이도는 귓바퀴에서 고막에 이르는 통로로 길이는 약 2.5cm, 안의 지름이 7~9mm 정도 되는 관의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S자 모양으로 굴곡이 져있으며, 귓바퀴 쪽 1/3은 귓바퀴의 연골이 이어져 연골로 되어 있고, 고막 쪽 2/3는 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뼈로 이루어진 골부는 피부가 얇고 털주머니, 피부기름샘 등이 없지만, 연골로 이루어진 연골부에는 털주머니, 피부기름샘, 귀지샘 등이 발달된 두꺼운 피부로 덮여 있습니다. 귀지샘은 땀샘이 변하여 생긴 것으로 황갈색의 특이한 액체를 분비하는데, 이 분비액에 탈락된 상피세포들이 합쳐져 생긴 것이 귀지입니다. 귀지는 보통 지저분하다고 생각을 하지만 사실 외부 세균들로부터 외이도를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외이도는 외부 세균들과 직접 접촉하는 부위이기 때문에 자체 방어기전을 가지고 있으며, 귀지는 그 방어기전 중의 하나입니다. 귀지는 지방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막아주고, 산성을 띄고 있어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며. 라이소자임과 같은 항균성 물질을 지니고 있어서 외부 세균으로부터 외이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외이도염이란 외이도에 염증이 생긴 것으로 이러한 외이도의 방어기전이 깨져 세균이나 진균의 감염에 의해 흔히 발생합니다. 그러나 세균의 감염 외에 알레르기나 피부질환에 의해서도 발생을 합니다.

외이도의 구조-귀는 외이도, 중이도, 내이도로 구분지어짐. 연골로 이루어진 부분과 뼈로 이루어진 부분 그림. 연골로 이루어진 부분은 피부가 두텁고 털주머니, 피부 기름샘, 귀지샘 등이 발달. 뼈로 이루어진 부분은 피부가 얇고 털주머니, 피부 기름샘 등이 없음. 
보건복지부,대한의학회 제공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이비인후과학회

원인

앞서 설명한 외이도의 방어기전에 문제가 생기면 세균이 침투하고 외이도염이 생기게 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선행 요인이 있을 때 흔히 발생합니다.

  • 잦은 수영
  • 습하고 더운 기후
  • 좁고 털이 많은 외이도
  • 외이도의 외상 또는 이물
  • 이구의 이상
  • 보청기 또는 이어폰의 이용
  • 습진, 지루성 피부염, 건선 등의 피부 질환
  • 당뇨병, 면역저하 상태
  • 땀이 많은 체질

더운 기후와 높은 습도가 중요한 선행 요인이기 때문에 아열대 기후에서 많이 생기고, 온대 지역에서는 여름철에 흔하며, 특히 수영 후에 잘 생기기 때문에 외이도염을 “수영자의 귀(swimmer' s ear)”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러한 외이도염의 주 원인균은 녹농균(pseudomonas)과 포도상구균입니다. 포도상구균은 정상적으로도 피부에 존재할 수 있는 균이지만 방어기전이 손상되면, 피부로 침투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그 외에 진균도 외이도염의 원인이 될 수 있나, 대개 급성 염증의 10% 이하에서만 진균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외이도의 염증이 수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 외이도염이라고 합니다. 원인은 급성 외이도염처럼 세균이나 진균에 의한 것이 있겠지만, 만성적인 경우에는 접촉성 알레르기나 이용액에 대한 감작 , 지루성 피부염, 건선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이비인후과학회

진단

1. 문진 및 신체 검사

대개 문진과 간단한 이경 검사를 통하여 진단이 가능합니다. 위에 설명한 선행 요인이 있는지에 대해서 물어봅니다. 그리고 이경을 통하여 외이도의 상태와 고막의 상태를 관찰하면 외이도염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2. 청각 검사

환자가 청력감소를 호소하는 경우에는 청각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대개 외이도염에서 청력의 저하는 외이도의 부종이나 분비물로 외이도가 막혀서 생기는 것으로 전음성 난청-소리의 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생기는 난청입니다. 만약 감각신경성 난청-내이의 이상이나 청신경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난청의 소견을 보이면 다른 질환을 의심하고 감별하여야 합니다.

3. 방사선 검사

외이도염을 진단하는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방사선 검사는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할 악성 외이도염을 비롯하여 염증이 외이도를 벗어난 것이 의심되거나 암과 같은 다른 병을 감별하여야 하면 추가적으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예외적으로 다른 병을 감별하기 위하여 조직검사나 혈액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이비인후과학회

치료 및 예방

1. 치료

치료의 원칙은 통증을 조절하고 외이도를 청결히 하며 적절한 약을 사용하여 치유를 돕는 것입니다. 유발 원인이 있는 경우에는 원인을 제거하고 외이도 피부의 자연적 산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방어기전을 되찾도록 도와야 합니다.

1) 이용액

항생제가 함유된 이용액을 사용합니다. 외이도염은 감염이 외이도를 넘어 주변조직으로 퍼지기 전에는 대개 항생제의 정맥주사가 필요 없으며, 이용액 같은 국소 도포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주로 녹농균을 억제할 수 있는 항생제가 들어 있는 이용액을 사용하여 감염을 치료하며, 염증을 가라앉히기 위해 스테로이드가 섞인 용액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2) 외이도의 세정

외이도에서 분비물과 피부 괴사물 등을 제거하고 산성 용액으로 세척하여 외이도의 산도를 되찾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 외이도의 부종과 피부 괴사물들로 외이도가 완전히 막히면 외이강이 열리도록 거즈나 특수 스폰지 등을 외이도에 넣어둘 수도 있습니다.

2. 예방

수영을 할 때 귀마개를 사용하여 외이도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수영이나 목욕 후에 드라이어를 약한 바람으로 조절하여 멀리서 말려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외이도를 후비거나 파는 등의 외이도에 자극을 줄 수 있는 행동을 삼가는 것입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이비인후과학회

특수한 경우의 외이도염

1. 알레르기성 외이도염

감염에 의한 외이도염 외에 알레르기에 의해 외이도염이 발생하거나 치료가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접촉성 피부염이라고 하는 것이 귀에 생기는 것입니다.

1) 원인

알레르기성 외이도염이란 제 4형 과민 반응의 일종으로 원발성과 속발(성)으로 나뉩니다.
원발성이라고 하는 것은 다른 외이도 질환이 없이 항원이 되는 물질과의 접촉으로 인해 외이도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다양한 물질이 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니켈, 크롬과 같은 금속, 화장품, 비누, 샴푸, 헤어스프레이, 염색약 등 어떤 물질이든 환자에 따라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 중 니켈이 가장 흔한 원인물질로 니켈에 대해서 여성 중 10%정도가 과민반응을 보인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따라서 외이도염이 니켈 성분이 들어간 귀걸이를 사용한 후에 발생하였다면 니켈에 의한 과민방응을 의심하여 보아야 합니다. 귀걸이 외에 흔히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청기가 있습니다.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 비닐 플라스틱(vinyl plastic), 염화폴리비닐(polyvinyl chloride) 등 보청기 이어몰드(ear mould)에 포함된 성분에 의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것입니다.


속발(성)은 외이도염이 발생하여 치료하는 도중 치료 약제에 알레르기를 일으켜 외이도염이 낫지 않고 지속되는 경우입니다. 네오마이신(neomycin), 겐타마이신(gentamicin)과 같은 약제 자체에 과민반응을 보이는 경우도 있고, 염화벤제토늄(benzethonium chloride)나 치매로살(thimerosal)과 같은 보존제에 과민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2) 진단

진단은 문진과 알레르기 검사를 통하여 시행합니다. 우선 상세한 문진을 통하여 의심이 되는 물질을 유추하여야 합니다. 특정 귀걸이나 보청기 사용 후에 발생하였는지, 화장품, 샴푸, 비누 등을 바꾼 후에 나타나지는 않았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또는 외이도염의 지속적인 치료에도 증상 호전이 없고 더 심해진다면 의심을 해볼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검사로는 첩포피부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의심되는 물질을 피부에 직접 붙여서 48시간 후에 첩포를 제거하고 피부반응 유무를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피부에서 양성 반응을 보이면 병력을 고려하여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3) 치료

치료를 위해서 원인 물질을 찾아내어 회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먼저 알레르기에 의한 것을 의심하는 것이 필요하며, 의심이 되었다면 첩포검사 등을 통하여 확진하고 원인 물질을 확인하여 사용을 중단하여야 합니다. 보청기와 같이 꼭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이어몰드를 바꾸어 주어합니다. 그 외 국소용 스테로이드 도포를 통하여 발생한 증상을 조절하여야 합니다.

2. 악성 외이도염

대부분의 외이도염은 국소 항생제 치료와 외이강의 세정을 통하여 치료가 잘 되지만 일부 환자에게서는 외이도를 넘어 주변으로 염증이 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외이도를 넘어 염증이 퍼지는 경우 중 가장 치명적인 경우로 악성 외이도염이 있습니다.

1) 원인

악성 외이도염은 주로 노령의 당뇨병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것으로 외이도 주변으로 염증이 퍼져 주변 연부 조직과 두개저까지 점차 침범하는 무서운 병입니다. 대개 당뇨병 환자에게서 발생하지만, 에이즈나 백혈병, 항암치료자, 신장 이식 등으로 면역 억제 치료를 받는 사람 등에서 모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드물게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fumigatus)와 같은 곰팡이도 악성 외이도염을 일으킬 수 있다고는 되어 있지만 대표적인 원인균은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입니다.


녹농균은 급성 외이도염의 대표적인 균이기도 합니다. 대개 급성 외이도염으로 가볍게 지나갈 수 있으나 당뇨병 환자나 면역 억제자의 경우에는 외이도 주변으로 감염이 퍼져나가 치명적인 염증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2) 증상

극심한 이통, 농성 이루, 이충만감, 전음성 난청이 나타납니다. 두통이나 악관절의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입을 벌리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염증이 두개저로 퍼져 뇌신경을 마비시켜 뇌신경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가장 흔한 뇌신경 마비증상은 안면신경 마비로 악성 외이도염 환자의 25%에서 안면마비가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그 외에 염증이 더 확산되어 두개내로 퍼지면 뇌수막염이나 뇌농양 등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3) 진단

당뇨병이나 면역억제 상태에 있는 사람이 외이도염이 생겼을 경우, 특히 매우 심한 통증이 동반된다면 악성 외이도염을 꼭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이경 검사를 통하여 외이도 바닥의 골-연골 인접부위에 생긴 육아조직이 관찰된다면 이는 악성 외이도염을 시사하는 소견입니다.


악성 외이도염에서는 염증이 외이도를 넘어 주변부위로 퍼지기 때문에 주변 조직에 대한 평가를 위해 방사선 검사가 필요합니다. 그 중 CT는 외이도 주변의 골 변화를 관찰하는 데 중요한 검사로 주변의 악관절이나 유양돌기의 염증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MRI는 두개내로 퍼진 염증을 확인하는 데에 유용한 검사로 두개내 합병증이나 주변 연부조직의 염증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그러나 CT나 MRI는 악성 외이도염이 치료에 반응을 하여도 검사 상의 변화는 지속되어 치료의 반응을 판단하는 데에는 부족한 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갈륨 스캔(gallium scan)과 같은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갈륨 스캔은 MRI처럼 뛰어나 해부학적 영상을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염증의 정도를 잘 반영하여, 염증이 가라앉으면 스캔 상에서도 영상 신호가 사라집니다. 따라서 치료경과를 관찰하고 치료 중단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추가적인 검사로 암과 구별하기 위하여 조직학적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고, 다른 병을 배제하고 염증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혈액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4) 치료

치료는 이비인후과를 비롯하여 내과, 신경과, 방사선 의사가 협력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우선 당뇨병이나 면역억제를 유발하는 기저 질환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적극적인 혈당 조절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장기간의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개 적어도 6-8주 이상의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정맥 항생제 투여를 위하여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으며,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4주마다 갈륨 스캔을 촬영할 수도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는 조직 검사와 육아조직이나 괴사 조직을 제거하는 경우에만 국한적으로 사용하지만, 치료에 계속적으로 반응이 없으면 광범위한 절제를 고려하기도 합니다.


악성 외이도염은 치사율이 보고자에 따라 15%가 넘는, 외이도염 중에서 가장 위험한 합병증입니다. 따라서 기저 질환을 가진 사람이 극심한 통증을 동반한 외이도염이 있을 경우에는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빠른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꼭 받아야 합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이비인후과학회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1. 귀지는 자주 파는 것이 좋은가요?

귀지는 귀지샘에서 분비된 분비물과 탈락된 상피세포가 합쳐져 생긴 것입니다. 귀지는 보통 더럽다고 생각을 하지만 실제로 외이도를 보호하여 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외이도의 상피는 고막을 중심으로 조금씩 밖으로 자라나옵니다. 따라서 귀지는 파지 않아도 저절로 밀려 나오게 됩니다. 오히려 면봉을 이용하여 귀지를 파내다가 외이도나 고막에 상처를 내는 경우가 많고 이렇게 난 상처를 통하여 감염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귀지의 양은 개인에 따라 다르며, 간혹 양이 많거나 자정작용이 떨어진 노인의 경우에 귀지가 외이도를 막아 청력감소나, 이물감 또는 이폐색감을 일으킬 수는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까운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제거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2. 귀에도 무좀이 생긴다는데 사실인가요?

곰팡이 균은 우리 몸 어디에나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외이도에 감염이 된 경우를 이진균증이라고 합니다. 주증상은 가려움이며, 그 외에 이루, 이물감 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진단은 이경을 통하여 외이도의 진균을 관찰하는 것으로 내릴 수 있으며, 치료는 외이도를 세척하고 국소 약제를 도포하는 것입니다.

3. 저는 이전부터 ‘물귀지’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물귀지는 나쁜 건가요?

귀지의 성상은 사람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즉, 유전적, 인종적으로 상이합니다. 흑인과 백인의 경우에는 습하고 끈적거리며 갈색인 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개 건조한 회색 귀지의 양상을 보입니다.
질문하신 분께서는 귀지가 아마도 습한 성상을 띄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얼굴색이 사람마다 다른 것처럼 귀지의 성상이 다를 뿐, 지금 불편하신 점이 없다면 그 자체로 큰 문제는 없습니다.

4. 면봉으로 귀를 파다가 피가 났습니다. 피는 멈추었고 지금은 약간 귀가 먹먹한 것 외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습니다. 그래도 병원에 가봐야 하나요?

지금 귀가 먹먹한 것은 흘러나온 피가 덩어리로 뭉쳐서 귀를 막아 생긴 현상일 수도 있으나 고막의 손상에 의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대개 외이도에 난 상처는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나,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고막과 이소골의 손상 여부를 파악하고 외이도의 상처 정도를 평가하여 소독을 받으셔야 합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이비인후과학회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